21. 한국어 자음의 음성, 음운적 특징으로 옳은 것은?

자음은 유성음과 무성음이 대립을 이룬다.

자음 음소의 수가 모음 음소의 수보다 많다.

뒤따르는 모음의 종류에 따라 조음위치가 달라지는 자음이 있다.

어두의 평음, 경음, 격음을 발음할 때 나오는 기식의 양은 격음>경음>평음의 순이다.


22. 표준어의 단모음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는 혀의 앞뒤 위치에서 대립을 보인다.

는 모음체계 내에서 공통점을 갖지 않는다.

는 혀의 높이에서 대립을 보인다.

저모음 위치에 원순모음이 존재하지 않는다.

 

23. 자음의 조음 위치가 가장 다양하게 발음되는 단어는?

초승달

옷맵시

벼훑이

꽃망울

 

24. 이중 모음에 관한 표준 발음법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이외의 []로도 발음한다.

, 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다.

는 특정한 환경에서는 단모음(單母音)으로 발음된다.

조사 는 환경에 따라 [], []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25. 한국어의 음절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반모음도 모음이므로 단독으로 음절을 구성할 수 있다.

초성에 자음군이 올 수 없다.

자음은 홀로 음절을 구성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모음과 결합해야 한다. 초성에 위치할 수 있는 자음 음소의 수는 18개이다.

41. 언어 교수 이론과 주된 교육 자료의 연결이 옳은 것은?

. 암시적 교수법 - 오디오, 배경 음악

. 공동체 언어학습법 - 녹음 장치, 교재

. 침묵식 교수법 - 피델 차트, 색깔 막대

. 전신반응 교수법 - 과제 카드, 실물 자료

① ㄱ,

② ㄱ,

③ ㄴ,

④ ㄴ,


42. PPP 모형과 TTT 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PPP 모형과 TTT 모형은 모두 과제 수행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TTT 모형은 통제된 연습을 통해 규칙을 내재화하는 데 유용하다.

PPP 모형은 학습 속도의 측면에서 효율적인 교수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TTT 모형에 형태 초점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제한적이나마 문법 교육이 가능하다.

 

43. 다음에서 문법번역식 교수법과 직접 교수법의 차이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항목 교수법

문법 번역식 교수법

직접 교수법

어휘 제시 방법

고립적

맥락적

문법 제시 방법

귀납적

연역적

강조하는 교육 내용

어휘,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발음

교사의 목표어 능력

문어 능력이 요구됨

원어민 수준의

구어 능력이 요구됨.

 

44. 발음 학습에 미치는 모국어의 영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영어권 학습자는 영어의 음절초에 나타나는 /s/를 어두 //에 적용하여 소리[쏘 리]와 같이 발음한다.

중국어권 학습자는 중국어에서 /n, ŋ/을 제외하고 자음과 자음이 연이어 오는 경우가 없어 한국어의 자음동화와 같은 음운현상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일본어권 학습자는 일본어의 이 뒷소리에 따라 자동적으로 [m, n, ŋ]으로 실현되 므로 음절말의 /, , /을 구별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중국어권 학습자는 중국어의 음절초에만 나타나는 권설음을 음절초 //에 적용하여 도로[toro]와 같이 발음한다.

 

45. 청각구두식 교수법의 발음 교육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학습 초기 단계부터 발음 교육이 강조된다.

. 발음 교육의 목표를 이해 가능한 발음의 습득에 두었다.

. 개별 분절음보다는 초분절적 요소를 중심으로 지도한다.

. 발음기호, 조음위치, 조음방법 등과 같은 음성학적 정보를 활용하여 지도한다.

① ㄱ,

② ㄱ,

③ ㄱ, ,

④ ㄴ, ,


46. 발음 교육 내용과 교육 자료의 연결이 옳은 것은?

////의 차이: 구강 엑스레이 사진으로 혀의 높이 차이를 보여 주었다.

////의 차이: 입 모양 상자를 이용해 발음 방법에서 차이가 남을 보여 주었다.

////의 차이: 성대에 손을 대고 발음하게 함으로써 성대의 진동 여부를 알게 하였다.

////의 차이: 입 모양 동영상 자료로 처음과 끝의 입 모양을 보여 주었다.

 

47. 한국어 발음 교육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늑막염은 앞말의 자음이 뒤 음절 첫 소리로 옮겨 [능마겸]으로 발음됨을 지도한다.

겉옷은 앞말 자음의 중화가 일어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됨을 지도한다.

발달과 같은 한자어에서 받침 // 뒤에 연결되는 /, , /는 반드시 경음으로 발음됨을 지도한다.

닫히다를 통해 //// 모음과 만나면 조음위치가 뒤쪽으로 이동하여 //로 발음됨을 지도한다.

 

48. 다음은 표준 발음을 연습하기 위한 낭독 자료이다. 낭독 자료 중 밑줄 친 어휘를 지도할 수 있는 발음 교육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여러분,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에 새로 입사한 마이클입니다. 고향은 캘리포니아고 1전에 한국에 왔습니다. 좋은 회사에서 여러분과 함께 일하게 돼서 정 말 기쁩니다. 많이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앞으로 열심히 하겠습니다.

입사 - ‘복사, 옷장, 탑승등을 예시하며 경음화를 지도한다.

1- ‘설날, 음운론, 공권력등을 예시하며 유음화를 지도한다.

좋은 - ‘많이, 쌓아, 싫음등을 예시하며 //이 탈락됨을 지도한다.

바랍니다 - ‘십만, 입는, 앞문등을 예시하며 비음화를 지도한다.

 

49. 다음 대화문의 의문문에서 밑줄 친 음절에 얹히는 억양을 다르게 지도해야 하는 것은?

: 먹었?

: 아니, 아직 안 먹었어. 먹을?

: , 그러자.

: 뭐 먹고 싶은?

: 김밥 먹을?

: 좋아.

① ㉠

② ㉡

③ ㉢

④ ㉣

 

50. 다음 말하기 활동이 속하는 의사소통 활동 유형은?

교 사: 여러분은 주말에 뭐 할 거예요? 한 사람씩 돌아가면서 이야기해 보세요.

학생1: 저는 친구를 만날 거예요.

학생2: 친구랑 영화를 볼 거예요.

학생3: 운동을 할 거예요.

학생4: 일요일에 등산을 할 거예요.

구조적 활동

유사 의사소통 활동

기능적 의사소통 활동

사회적 상호작용 활동

16. 한국어 접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접두사 중에는 어근과 결합할 때 모습이 바뀌는 것이 있다.

접미사 중 일부는 통사 구조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명사 파생 접사인 ‘-()’, ‘-’, ‘-는 그 쓰임이 정해져 있어 서로 바꿀 수 없다.

접두사 -’, ‘-’은 결합하는 어근의 품사가 한 종류로 제한되어 있다.

 

17. 밑줄 친 보조용언이 나타내는 시간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오전 강의를 듣고 나면 친구와 산책을 하곤 했다.

. 그는 10년 동안 산수화를 그려 왔다.

. 키 큰 사람이 앞에 앉아 있어서 영화가 잘 보이지 않는다.

. 드디어 부모님께 결혼 허락을 얻어 내었다.

① ㄱ: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 모두 끝났음을 나타낸다.

② ㄴ: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 말하는 이 또는 정해진 기준점으로 가까워지면서 진행됨을 나타낸다.

③ ㄷ: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 계속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④ ㄹ: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 끝내 이루어짐을 나타내며, 주로 그 행동이 힘든 과정임을 나타낸다.


18. 한국어 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부사격조사 에게한테는 상보적 분포를 보인다.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는 구어체에서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보격조사는 서술어가 되다’, ‘아니다일 경우에 서술어 바로 앞에 쓰이는 /를 가 리킨다.

호격조사는 일상 대화의 경우 청자가 화자와 동등한 지위를 가진 사람이거나 그보다 낮은 사람일 경우에만 쓰인다.

 

19. 제시된 문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물음에 알맞은 답을 써라.”에 쓰인 명령형 써라쓰라와 달리 불특정 다수에게 사 용하는 명령형이다.

손에 못이 박힐 정도로 일했다.”손에 못이 박히다는 피동 표현으로서, 대응되는 능동 표현을 상정하기 어렵다.

제주도에 한번 갔으면 좋겠다.”의 선행절은 ‘--’이 쓰였지만 발화시 이후의 상황을 표현하고 있다.

아빠가 엄마에게 아기를 안겼다.”는 접미사 ‘--’가 쓰여 직접 사동의 의미를 표현 하고 있다.

 

20. 다음의 대화에서 밑줄 친 부분에 관한 설명이 옳은 것만 고른 것은?

: 차라리 걸어가는 것이 빠를지도 모르겠는데요.

: 곧 버스가 올 듯하니 조금만 더 기다립시다.

: 10시까지는 도착해야 하는데, 잘못하면 늦겠는데요.

: 걱정 말고 조금만 더 기다려 보는 게 어때요?

① ㉠: 상황에 대한 판단 : 행위의 실현에 대한 희망

② ㉠: 상황에 대한 추측 : 어떠한 행위의 시도

③ ㉡: 상황에 대한 기대 : 새로운 행위 인식

④ ㉢: 필요한 행위의 제안 :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

71. 인간의 정보처리 체계에 관한 설명 중 ( ) 안에 알맞은 것은?

인지과정은 짧은 시간에 정보를 저장할 저장소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우리는 사람과 대화할 때 대화 상대자가 방금 말한 것을 놓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어 떻게 대꾸할지를 결정하는 동안 우리는 상대방의 말 중 일부를 일시적으로 저 장하고 있어야 한다. 이처럼 인지적 과제에서 처리되고 있는 정보를 일시적으 로 저장하는 장소를 ( )이라고 한다.

의미 기억 일화 기억 작업 기억 장기 기억


72. 다음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쓴 문장에서 밑줄 친 부분이 보여주는 오류 양상은?

비가 많이 왔어서 여행을 못 갔어요.

생략           대치          어순           첨가

 

73. 한국어와 일본어 화자의 외래어 발음표기에 나타난 현상을 분석한 다음 표에 관 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영어

spring

CCCVC

한국어

스프링

CVCVCVC

일본어

スプリング[supuringu]

CVCVCVCCV

영어, 한국어, 일본어 음운의 변별자질을 대조분석한 표이다.

영어 화자는 1음절, 한국어 화자는 3음절, 일본어 화자는 4음절로 발음한다.

세 언어 모두 모음 뒤에 자음이 결합하는 VC 음절 구조를 가진다.

한국어와 일본어 화자가 영어를 배울 때 운율의 차이로 인해 겪을 어려움을 예상할 수 있다.

 

74. 다음 사회언어학자 라보프(Labov)의 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라보프에 의하면 고급백화점에서 일하는 점원일수록 /r/을 권설음으로 발음하 는 경우가 많고 하급백화점에서 일하는 점원일수록 권설음으로 발음하는 경우 가 적다고 한다. 라보프는 고객으로 가장하여 점원들에게 “Excuse me, where are the women’s shoes?”, “Excuse me, what floor is this?”라고 질문하고 ‘fourth floor’를 대답하도록 유도했다. 또한 그는 잘못 알아들은 척하고 재차 묻기를 하여 점원들로 하여금 주의를 기울여 대답하게 했다. 자료를 수집할 때 도 상점의 층수, 상점의 종류, 점원의 성별, 나이, 직종, 인종, 사투리 유무 등을 꼼꼼히 기록했는데, 고급, 중급, 하급 세 백화점의 점원 264명을 대상으로 네 가지 조건의 /r/을 조사하는 데 소요된 시간은 불과 6.5시간이었다.

사회 계층에 따라 음운 변이가 나타났다.

라보프의 조사 방법은 경제적이고 효율적이다.

이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언어 변수는 점원이다.

라보프는 관찰자의 역설을 피하기 위해 고객으로 가장하였다.


75. 심리언어학의 연구 주제가 아닌 것은?

문장과 텍스트를 어떻게 이해하는가?

뇌에서 언어는 어떻게 처리되는가?

사회 통합에 언어가 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말을 들을 때 단어들의 인식 과정은 어떠한가?

 

76. 다음은 코퍼스(corpus) 분석의 한 예이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동사의 어미가 분석되어 있지 않다.

태깅(tagging)을 하지 않았다.

문어 코퍼스를 분석한 것이다.

아유, 그런 것에 먹는 게 이런 약입니다.”는 원시 코퍼스이다.

 

77. 다음 중 공시언어학이 아닌 것은?

방언 연구                             언어 유형 연구

언어 대조 연구                        공통 조어(祖語) 연구

 

78. 문자의 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표의문자: 그림이 추상화된 것으로 고대 이집트 문자가 대표적이다.

설형문자: 표의문자에서 음성문자로 가는 중간 단계로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쓰였다.

음절문자: 음절 단위의 소리를 하나의 부호로 표시하는 문자로 일본의 히라가나가 대 표적이다.

음소문자: 자음과 모음을 분리하여 각각 문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글이나 알파벳이 이에 해당한다.


79. 언어습득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스키너(Skinner)는 후천적인 경험이나 학습을 언어습득의 기본으로 간주하였다.

촘스키(Chomsky)는 인간에게는 언어의 기본 원리가 선천적으로 내재되어 있다고 보 았다

핑커(Pinker)는 언어습득에서 모방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언어 교사로서의 어머니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피아제(Piaget)는 언어능력을 영유아의 인지적 성숙에 따라 발달하는 다양한 능력 의 하나로 보았다.

 

80. 다음은 크라센(Krashen)의 어떤 가설에 관한 설명인가?

모든 학습자가 외국어 학습에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이해 가능한 입력을 모든 학습자가 충분히 받았다고 하더라도 어떤 학습자는 성공적으로 외국어를 습득 하는 반면, 어떤 학습자는 실패하고 만다. 학습자가 갖고 있는 불안감 또는 자 신감과 동기의 부족으로 인해 이해 가능한 입력이 학습자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면 성공적인 외국어 학습이 이루어질 수 없다.

정의적 여과장치 가설            모니터 가설 

자연적 순서 가설                습득과 학습 분리 가설

11. 한국의 고령화 현상과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복지비 지출 증가로 정부의 재정 부담이 커지고 있다.

노인의 빈곤, 소외, 자살 등의 사회 문제가 증가되고 있다.

2007년 기초노령연금법이 제정되어 현재 시행되고 있다.

고령화는 수명 연장, 미혼율 급증, 다문화 가정의 급증 때문이다.

 

12. 1986년 아시안 게임의 마라톤을 배경으로 한 백남준의 비디오 퍼포먼스 제목은?

다다익선                                바이 바이 키플링 

굿모닝 미스터 오웰                      달은 가장 오래된 TV

 

13. 조선 시대 의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조 시대와 고종 시대의 의궤는 체제와 구성에서 서로 다른 점이 많다.

열람자나 보관처에 따라 어람용(御覽用)과 분상용(分上用)으로 구분되었다.

정조 시대의 <원행을묘정리의궤><화성성역의궤>는 활자본으로 만들어졌다.

행사의 전 과정을 보여 주는 반차도(班次圖)와 건물이나 물품을 그린 도설(圖說)이 수 록되어 있다.


14.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경주역사지구의 각 지역과 문화적 특징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남산지구 - 신라의 궁궐터         황룡사지구 - 신라 불교의 중심

명활산성 - 고대 신라의 방위 시설 대릉원지구 - 신라 초기 왕들의 무덤

 

15. ‘하회별신굿탈놀이에 등장하는 인물이 아닌 것은?

양반 부네 초랭이 말뚝이

 

16. 동지(冬至)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홍석모의 <동국세시기>에서는 아세(亞歲)’라고 한다.

양력 1222일로 태양력의 절기에서 비롯된 명절이다.

외양간과 변소 등 온 집안에 등불을 켜 놓고 밤샘을 한다.

대문이나 마당, 담장 등에 팥죽을 뿌려 잡귀의 출입을 막았다.

 

17. 십장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시내 대나무


18. 태극기의 4괘 이름과 의미의 연결이 옳은 것은? () () () ()

하늘 - - -

하늘 - - -

- 하늘 - -

- 하늘 - -

 

19. 안동의 장씨 부인이 쓴 것으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글 요리책은?

규합총서 산가요록 수운잡방 음식디미방


20. 사찰에서 금하는 오신채(五辛菜)가 아닌 것은?

부추 마늘 고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