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어휘의 상하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하위어가 상위어를 의미적으로 함의하고 있다.

하위어는 상위어에 비해 가지고 있는 의미 성분의 수가 많다.

상위어와 하위어의 관계는 전체어와 부분어 관계라고 바꿔 말할 수 있다. 상하 관계는 특정 문화나 특정 관점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32. 의미가 축소된 단어가 아닌 것은?

세수

얼굴

짐승

 

33. 고유어와 한자어가 일대다로 대응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이 아닌 것은?

한자어는 다의성을 기반으로 하여 기초 어휘부를 담당해 왔다.

고유어와 한자어가 부담하고 있는 의미 영역상의 차이로 인해 상호 보완의 필요성이 컸다.

다수의 한자어들이 하나의 고유어에 집중되는 형식으로 유의 관계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국어의 어휘부가 기원과 기능을 달리하는 고유어와 한자어에 의해 이중 체계를 형성 하고 있다.

 

34. 한국어 유의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내포적 의미의 차이에 따른 유의어가 많다.

방언의 차이에 의한 다양한 유의어가 존재한다.

외래어로 인하여 다양한 유의어가 발달하였다.

금기가 많아 완곡어법에 의한 유의어가 존재하지 않는다.


35. 국어사전에서 나머지 셋과 다른 표제어로 처리되는 먹다가 쓰인 것은?

뇌물을 먹고 탈세를 눈 감았다.

이 고기에는 칼이 잘 먹지 않는다.

옷감에 풀이 잘 먹어야 다림질하기가 좋다.

귀가 먹었는지 아무리 불러도 그냥 가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