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 속독 훈련 방법 중 ‘자기 속도 조절 읽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목표 읽기 속도에 빨리 도달한 학습자는 남은 시간 동안 다시 읽어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도록 한다.
② 목표 읽기 속도로 텍스트 내용을 70% 이상 이해할 때까지 스스로 동일 텍스트를 반복해서 읽도록 지도한다.
③ 교사가 텍스트를 선정해 주면 학습자는 원하는 시간에 자율적으로 속도를 조절해 가면서 읽는 활동을 한다.
④ 교사가 목표 읽기 속도를 정해 주기보다는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능력에 맞게 목표를 정하도록 한다.
82. 다음 사고 구술(think-aloud)에서 파악할 수 있는 독해 전략은?
한국 사람들이 주로 하는 주말 활동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 이게 한국인의 주말 활동에 대한 거구나.) 직장인 남녀 각각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결과가 뭘까 궁금하네.) 남자는 TV 시청 42.7%, 등산 31.5%, 운동 1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여자들은 어떻게 다를까?) 여자는 집안일 43%, 쇼핑 23.5%, 문화생활 1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성별에 따라 분명한 차이 가 나타난 이유는 무엇일까? (이유를 분석했구나.) |
① 글의 내용에 대해 질문하기
② 담화 표지 이용하기
③ 핵심어 동원하기
④ 통사 구조 이용하기
83. 읽기 교육을 위한 자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개작을 할 경우 어려운 부분 중 일부는 학습자가 도전할 수 있도록 그대로 남겨 둔다.
②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개인적인 주제보다 사회적인 주제의 자료 비중을 늘린다.
③ 모국어의 간섭 현상을 막기 위해 모국어 환경에서 습득한 글의 유형은 포함하지 않는다.
④ 어려운 텍스트는 상세화를 통해 어휘를 추측할 수 있는 맥락을 제공하여 학습자의 이 해를 돕는다.
84. 문법 항목을 숙달도에 따라 낮은 등급에서 높은 등급으로 배열한 것은?
ㄱ. -(으)ㄹ 테니까 ㄴ. 이/가 아니다 ㄷ. -(으)ㄴ/는 마당에 ㄹ. -(으)ㄴ 적이 있다/없다 |
① ㄴ - ㄷ - ㄹ – ㄱ
② ㄴ - ㄹ - ㄱ - ㄷ
③ ㄹ - ㄴ - ㄱ – ㄷ
④ ㄹ - ㄴ - ㄷ - ㄱ
85. ‘-아서/어서’의 교육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아서/어서’는 ‘-았/었-’과 결합할 수 없다.
② ‘-아서/어서’는 앞 문장에 인칭 제약이 있다.
③ 원인 이유의 ‘-아서/어서’는 명령문과 청유문에 쓰일 수 없다.
④ 시간 순서의 ‘-아서/어서’는 형용사와 결합할 수 없다.
'한국어교원3급과정 문제풀이 모음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2교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년 제9회 2교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A형(91~95번 문제) (0) | 2020.05.31 |
---|---|
2014년 제9회 2교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A형(86~90번 문제) (0) | 2020.05.29 |
2014년 제9회 2교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A형(76~80번 문제) (0) | 2020.05.25 |
2014년 제9회 2교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A형(71~75번 문제) (0) | 2020.05.23 |
2014년 제9회 2교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A형(66~70번 문제) (0) | 2020.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