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 한국어 교재의 단원을 구성할 때 고려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도입에서는 단원의 목표 문법을 제시하고 학습자가 그것을 이용하여 대답하도록 하는 질문을 포함한다.

예시문은 하나의 긴 담화보다는 짧은 담화를 두세 개 제공하여 다양한 맥락을 보여줄 수 있도록 한다.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과제는 통합하기보다는 분리하여 제시하는 것이 좋다.

문화 항목은 단원의 주제와 직접 관련이 없어도 한국의 전통문화나 한국인의 가치관 을 담고 있는 내용이라면 자유롭게 다룬다.

 

102. 교재 개발을 위한 교수요목의 설계 절차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 교육 내용의 범주 결정

. 학습자의 요구조사

. 교육 내용 배열

. 교육 목적 및 목표 설정

. 교육 내용 선정

① ㄴ - - - ㄷ – ㅁ

② ㄹ - - - -

③ ㄴ - - - ㅁ – ㄷ

④ ㄹ - - - -


103.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교재 개발에서 유의할 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정생활 및 공동체 생활 등과 관련된 다양한 담화 맥락에서 상호작용할 기회를 포함 한다.

이주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시장에서 물건 사기, 병원 이용하기, 취업 면접하기 등의 실제적 과제를 포함한다.

한국 생활에 빨리 적응할 수 있도록 전단지, 처방전, 사용설명서 등의 실물 자료를 가 공하지 않고 사용한다.

학습 여건을 고려하여 독학이 가능하도록 교재에 모범답안과 모국어 번역 자료를 제 공한다.

 

104. 교재의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교육과정 수립을 위한 교수학습 내용을 제공한다.

교수·학습 목표를 제시하고 교수의 일관성을 유지시킨다.

다양한 활동을 제공하여 학습자의 학습 전략을 개발한다.

교수 목표 달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평가의 기준이 된다.

 

105. 영상 번역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화면보다는 대본에 충실하게 번역해야 한다.

텍스트 번역과 달리 글자 수에 제한이 있다.

시대 상황과 인물의 특징이 드러나는 표현을 선택해야 한다.

비속어나 은어는 상황에 맞는 완곡한 표현으로 바꾸어 번역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