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한국어학 시험문제'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0.05.22 2014년 제9회 1교시 한국어학 A형(41~45번 문제)
  2. 2020.04.21 2014년 제9회 1교시 한국어학 A형(21~25번 문제)

41. 환유의 원리에 따라 의미가 변화한 예는?

동궁: [세자가 사는 궁] > [세자]

오른팔: [오른쪽에 달린 팔] > [가장 믿고 의지하는 사람]

굼벵이: [매미의 애벌레] > [동작이 느린 사람]

쥐꼬리: [쥐의 꼬리] > [매우 적은 것]

 

42. 등급 반의어(정도 대립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집이 넓지도 좁지도 않다가 가능하므로 넓다:좁다는 등급 반의어이다. 큰 생쥐도 작은 코끼리보다는 작으므로 크다:작다의 평가 기준은 상대적이다.

영수는 동수보다 더 남자다가 불가능하므로 남자:여자는 등급 반의어가 아니다.

아직 죽지 않았다아직 살아 있다와 같은 의미이므로 죽다:살다는 등급 반의어이다.

 

43. 다의성이 발생한 예로 보기 어려운 것은?

밝다는 빛과 관련된 어휘지만 -표정-분위기와 관련된 어휘로 의미의 전이가 일어 나면서 다의어가 되었다.

이쪽이 낫다를 인터넷에서 이쪽이 낳다로 잘못 쓰면서 낳다[우월하다]라는 의 미가 추가되었다.

작업이 최근 젊은이들 사이에서 [이성을 유혹하는 일]의 뜻으로 사용되면서 단어의 의미가 추가되었다.

인간(人間)’은 원래 [사람들이 사는 세상]의 의미였으나 일본 한자어의 영향으로 [사 람]의 의미가 추가되었다.

 

44. 중의성의 성격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나는 동생과 아버지를 찾아다녔다.

동현이와 미혜가 결혼한다고 하네.

동생은 형보다 아빠를 더 사랑한다.

사장은 비서에게 차를 준비하라고 했다.

 

45. 다음 발화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복잡한 버스 안에서) 내릴게요.

화자는 평서문으로써 명령 또는 부탁을 하고 있다.

동일한 언표내적행위를 수행하는 발화로 좀 내립시다.’가 있다.

화자는 자신의 의지를 말함으로써 승객들에게 경고를 하고 있다.

화자는 청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려고 명령형을 쓰지 않고 있다.

21. 한국어 자음의 음성, 음운적 특징으로 옳은 것은?

자음은 유성음과 무성음이 대립을 이룬다.

자음 음소의 수가 모음 음소의 수보다 많다.

뒤따르는 모음의 종류에 따라 조음위치가 달라지는 자음이 있다.

어두의 평음, 경음, 격음을 발음할 때 나오는 기식의 양은 격음>경음>평음의 순이다.


22. 표준어의 단모음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는 혀의 앞뒤 위치에서 대립을 보인다.

는 모음체계 내에서 공통점을 갖지 않는다.

는 혀의 높이에서 대립을 보인다.

저모음 위치에 원순모음이 존재하지 않는다.

 

23. 자음의 조음 위치가 가장 다양하게 발음되는 단어는?

초승달

옷맵시

벼훑이

꽃망울

 

24. 이중 모음에 관한 표준 발음법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이외의 []로도 발음한다.

, 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다.

는 특정한 환경에서는 단모음(單母音)으로 발음된다.

조사 는 환경에 따라 [], []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25. 한국어의 음절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반모음도 모음이므로 단독으로 음절을 구성할 수 있다.

초성에 자음군이 올 수 없다.

자음은 홀로 음절을 구성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모음과 결합해야 한다. 초성에 위치할 수 있는 자음 음소의 수는 18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