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응용언어학 기출문제'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9.10.14 2014년 제9회 1교시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A형(61~70번 문제)

61. 언어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자의성: 소리와 의미 사이에는 필연적인 관계가 없다.

분절성: 언어는 사고와 문화에 영향을 미친다.

창조성: 유한수의 언어요소를 가지고 무한수의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시간 초월성: 시간의 한계를 벗어나 과거와 미래에 대해서 이야기할 수 있다.

 

62.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난이도 위계의 용어와 그 예가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대응: ‘coffee’ 커피

융합: 부정관사 ‘a/an’ 지시관형사

부재: 과거시제 ‘-ed’ 회상법 ‘--’

차별화: ‘zucchini’/‘pumpkin’ 호박

 

63. 다음 ㉠~㉣에 관한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단어의 의미 변화에는 몇 가지 원인이 있다. 언어적 원인에 의한 의미 변화는 단어가 문맥에 영향을 받아 그 의미가 변화되는 경우이다. 역사적 원인에 의 한 의미 변화는 단어의 형태는 옛 모습 그대로인데 지시물이 변화하는 경우이 다. 사회적 원인에 의한 의미 변화는 어떤 특수한 사회 제도나 계층과 관련하 여 그 의미에 변화를 겪는 경우이다. 심리적 원인에 의한 의미 변화는 화자의 마음속에 깊이 뿌리박혀 있는 특징이나 경향 때문에 일어나는 경우이다.

① ㉠: ‘주책이 주로 없다라는 부정적 서술어와 함께 쓰이면서 없다의 부정적 의미가 주책에 영향을 주어 이제는 주책만으로도 부정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② ㉡: ‘영감(令監)’은 예전에 정삼품과 종이품의 관원을 가리키는 말이었지만 이제는 나 이 많은 노인을 가리킨다.

③ ㉢: ‘벌초는 풀을 베는 행위 전반을 가리켰으나 이제는 산소의 풀을 베는 일에 국한 하여 쓰인다.

④ ㉣: ‘은 미련한 사람을 가리키는 경우에 쓰인다.


64. 대조언어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언어유형론적으로 일본어는 교착어, 중국어는 고립어, 영어는 포합어이다.

한국어의 어순은 주어+목적어+서술어이고 중국어의 어순은 주어+서술어+목적어이다.

한국어에서 단수와 복수의 구분은 대부분 수의적이나 영어에서는 필수적이다.

한국어 자음 --에는 긴장성과 기식성의 대립이 있고 영어 자음 ‘t-d’에는 유무성의 대립이 있다.

 

65. 형태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계열관계와 통합관계를 통해 분석할 수 있다.

의미의 차이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이다.

오솔길오솔-’과 같은 유일형태소는 한국어에만 있는 현상이다.

처소를 나타내는 에서는 상보적 분포를 이루는 이형태이다.

 

66. 사회언어학의 연구 대상이 아닌 것은?

대학생과 직장인의 약어 사용의 차이

남녀 성별에 따른 상대높임법 실현의 차이

지역에 따른 식물 관련 어휘 사용의 차이

중세한국어와 현대한국어의 시제 체계의 차이

 

67. 다음 글에서 주인공은 언어의 어떠한 특성을 부정하고 있는가?

, 이제부터 뭔가가 변화한다.”하고 그는 외쳤다. 그는 이제부터 침대를 그 림이라고 부르기로 하였다. 아침에 눈을 뜨자 그는 한참 동안을 그림속에 누 워서 이제 의자를 무어라 부르면 좋을까 골똘히 생각하였다. 그는 의자를 자명 종이라고 부르기로 하였다. 그는 벌떡 일어나서 옷을 입고는 자명종에 앉아서 두 팔을 책상에 괴고 있었다. 하지만 이제 책상을 더 이상 책상이라고 불러서는 안 되었다. 그는 이제 책상을 양탄자라고 불렀다. 그러니까 그 남자는 아침에 그림에서 일어나 옷을 입고는 양탄자옆의 자명종에 앉아 무엇을 어떻게 부 를까 곰곰이 생각한 것이다.

                                  피터 빅셀 <책상은 책상이다>에서

규칙성 보편성 생산성 규약성


68. 2언어습득 가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유표성 차이 가설: ‘높다’, ‘많다보다 유표적인 낮다’, ‘적다의 습득이 더 어렵다.

상호작용 가설: 이해 가능한 입력은 제2언어습득의 필요충분조건이다.

결정적 시기 가설: 아동의 제2언어습득은 모어화자 수준에 도달할 수 있지만 성인의 경우는 그렇게 되기 어렵다.

출력 가설: 학습자들이 문법적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말하기와 쓰기 등 언어 생 산을 독려한다.

 

69. 언어학의 하위분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음성학은 말소리의 체계와 기능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형태론은 단어의 형성과 구조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통사론은 구, 절 또는 문장의 형성과 구조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의미론은 기호와 의미의 관계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70. 다음의 표는 언어 재구(reconstruction)를 위한 동족 어휘들이다. 이 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영어

네덜란드어

독일어

스웨덴어

[mæn]

[man]

[man]

[man]

[hænd]

[hant]

[hant]

[hand]

언어 재구는 둘 이상의 언어를 비교하는 대조언어학의 분야이다.

[a]는 영어에서 [æ]로 전설화되었고, [d]는 네덜란드어와 독일어에서 [t]로 무성화되었다. 동족 어휘를 대상으로 언어를 재구하는 방법을 내적 재구라고 한다.

원시형태에서 개별언어로의 변화가 왜 일어났는가를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