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한국어교원3급과정 문제풀이 모음/한국어학(1교시)'에 해당되는 글 12건

  1. 2019.10.08 2014년 제9회 1교시 한국어학 A형(6~10번 문제)
  2. 2019.09.20 2014년 제9회 1교시 한국어학 A형(1~5번 문제)

6. 통사적인 이유로 가장 많은 해석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철수는 영희를 사랑하지 않았다.

나를 슬프게 하는 그 남자의 뒷모습이 오늘은 더욱 쓸쓸해 보였다.

뚱뚱한 장군의 아내가 초소를 방문하였다.

영호는 찬호와 인호가 자기만 생각한다고 믿는다.

 

7. 단어의 형성 방식이 같은 것으로 나열된 것은?

개구멍, 개나리 들일, 들국화 말갈기, 말동무 군고구마, 군불

 

8. 품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한 언어에 쓰이는 모든 단어가 품사 분류의 대상이다.

품사 분류의 근거로는 형태적인 기준과 어휘적인 기준이 있다.

동사와 형용사를 나누는 근거는 어울리는 부사의 차이에서도 찾을 수 있다.

조사를 하나의 품사로 상정하는 근거는 명사와의 관계에서 분리성이 강할 뿐만 아니 라 생략이 가능하다는 데에 있다.

 

9. 제시된 문장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비가 오더라도, 내일 행사는 예정대로 합니다.

. 영희는 키가 크고 영희 동생은 키가 작다.

. 영희는 사과를 좋아하고 순희는 사과를 싫어합니다.

. 물이 너무 맑으면, 고기가 모이지 않는다.

① ㄱ: 선행절을 후행절의 가운데로 이동시킬 수 있다.

② ㄴ: 선행절의 주어가 후행절의 주어의 일부와 동일할 때에는 후행절의 요소를 자기로 재귀화할 수 있다.

③ ㄷ: 선행절과 후행절에 동일 요소가 있을 때, 주어나 목적어가 동일하면 후행절의 것 을 생략할 수 있고, 서술어가 동일하면 선행절의 것을 생략할 수 있다.

④ ㄹ: 선행절과 후행절 사건의 순서를 바꾸면 문장의 의미가 달라진다.

 

10. 두 사람 사이의 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어디 가니?

. .

. 어디 가니?

. 도서관.

. 도서관?

. . 반납할 책이 많아서 무거워. 도와줄 수 있니?

가는지 여부에 초점을 두고 있는 판정의문문이다.

어디에 초점을 두고 있는 설명의문문이다.

은 의문사나 의문 어미를 취하고 있지 않으므로 의문문이 아니다.

도와줄 수 있니?’도와 달라는 명령이나 요청의 효과를 가지는 의문문이다.

 

 

1. 한국어의 특징이 아닌 것은?

언어유형론적으로 볼 때 교착어에 속한다.

상징부사와 색채어의 형성에 음운 교체의 방식을 취한다.

의존명사와 단위성 의존명사가 발달되어 있다.

유정명사와 무정명사를 문법적으로 구별하지 않는다.

 

 

2. 한국어의 문법 범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대표적인 문법 범주로는 격, 시제, (voice) 따위가 있다.

한국어에 없는 문법 범주는 어휘적인 방법을 취하여 표현하기도 한다.

문법 범주란 의미적으로 묶이고 구분되는 범주들이 일정한 문법 형태소로 구별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 , 높임법은 한국어는 물론 다른 언어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일반적인 문법 범주이다.

 

 

3. 한국의 방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중부 방언과 서북 방언(평안도 방언)은 구개음화가 없다.

동남 방언(경상도 방언)과 동북 방언(함경도 방언)은 성조를 가진다.

서남 방언(전라도 방언)과 동남 방언은 통시적인 변화 결과에는 공통점이 많으나, 어 미에서는 차이가 크다.

중부 방언은 서울, 경기도, 강원도, 황해도, 충청남북도의 대부분 지역 방언을 묶어 이 야기하기도 한다.

 

 

4. 한글과 그 표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창제 당시부터 한국어의 표기만을 위해 만든 문자라는 점은 , , , , 등의 글자를 보아서도 알 수 있다.

. 창제 당시부터 모아쓰기를 한 것은 한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한 자와의 조화를 꾀한 결과이다.

. 현행 맞춤법에서는 체언과 용언 어간의 기본형을 밝혀 적는 형태음소적 원 리를 채택하였다.

. 현행 맞춤법에서의 띄어쓰기 방식도 한글 창제 당시에 세종이 창안한 표기 의 원칙이다.

① ㄱ, ㄷ ② ㄱ, ③ ㄴ, ④ ㄴ,

 

5. 의존 명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상위문의 서술어에 일정한 제약이 없다.

문맥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앞에 반드시 관형 성분이 있어야 한다.

결합하는 조사에 제약이 따르기도 한다.